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모바일, IT

APC SmartUPS SMC1000IC

반응형

관리 부실로 데이터를 잃었던 경험을 계속해서 샀던 NAS, 막상 NAS를 샀더니 이제는 다른 외적인 요인으로 데이터를 잃어버리고 손해가 발생할까봐 또다른 걱정이 되어 고민하기 시작한 UPS이다.

 

사실 이 정도 쯤 되면, 유지비까지 포함하여 용량이 그리 많지 않다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편이 조금 더 현명할 수 는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는 언제 종료될 지 모르고 내 데이터를 검열할 수 있다는 문제도 있기 때문에 뭐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둘다 도긴개긴이긴 하다. 여튼 UPS 라는 제품은 유지보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물건이니 도입에 신중해야 한다.  

 

내가 산 UPS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이라는 회사의 APC 브랜드인 UPS 제품이다. 국내에서는 가정 혹은 소규모 회사 타깃으로 제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NAS를 구축한 사람이라면 필연적으로 한번쯤은 봤을 브랜드이다. 

 

물론 규모가 큰 전산실등에도 사용 가능한 제품군도 있지만, 국내에서는 내가 알기로는 국내 회사 몇곳에서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이 시장이 사실 각 환경에 맞게 커스텀이 많이 이루어져야 하다보니 아무래도 완제품 형식의 UPS는 큰 규모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단, 가정용이나 소규모 회사의 서버랙하나 정도 커버하는 수준으로는 꽤 많이 팔리며 그만큼 사용기들도 간혹 있어서, 나처럼 가정에서 관련 인프라를 꾸미거나 할때 많이 찾아보는 편인 제품이다. 이 브랜드 외에도 다른 회사의 UPS 제품군도 많지만, 나름 공격적으로 제품군과 가격을 구성하기에, 그리고 유지보수를 위한 베터리등의 공급도 어느정도 안정적이라서 최종적으로는 APC 제품들이 합리적인 선택지라고도 할 수 있다.

 

 

 

내가 산 것은, APC 제품군 중에서 Smart-UPS 라고 부르는 라인업이다. 보통 이 제품군은 가정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데, 대충 가정에서 쓸만한 라인업을 정리하면, - Back-UPS, - Easy UPS, - Smart-UPS 정도가 있다. 순서대로 가정용 ↔ 소규모 사무용 수준으로 보면 되는데,

 

다만, 내가 알아보니, 이렇게 제품 라인업이 꾸려진게 얼마 안된건지, 아니면 워낙 엔트리 레벨급에도 고용량과 토폴로지가 바뀌는 제품들이 많아서 그런건지는 모르겠는데, 사실 라인업으로 구분은 어렵다. 특히 다나와나 쇼핑몰에서 보면 막 섞여 있고, 15년 전에 나온 제품을 아직까지 팔고 있는 업체들도 많기 때문에 라인업 정의를 제대로 하기 어려운건 맞다. 심지어 APC 한국 홈페이지 내에서도 제품군을 정의는 해 놓았는데, 막상 들어가면 섞여 있어서 적어도 APC 코리아도 이를 정리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그래서 사실 제품군을 찾기 보다는 제품 모델명을 찾는것이 좋다. 제품군 체계 이전에 모델 라인업 이 있기 때문에 이것만 찾으면 꽤 간단하게 제품군별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이걸 굳이 설명을 한번 하자면(APC 홈페이지에도 없어서 내가 사려고 마음 먹으면서 대충 정리한 내용을 공유하면...)

 

흔히 APC UPS 는 BX,BE 모델 라인업이 꽤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는데, 이게 대충 Back UPS 라인업이고, APC에서 제일 하위 라인업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이 제품군은 인버터 용량도 낮은 제품군이 많고 염가형 답게 유사정현파(계단파 라고 적혀있다)로 출력된다. 그래서 가정용으로 무정전이 필요하되 별도로 어뎁터나 내부 파워서플라이가 전력공급을 하고 있는 일부 가전 및 PC 및 주변기기 제품만 사용이 권장된다. 저용량 제품군은 통신포트(USB등)가 없지만 조금만 높은 용량으로 가면 통신포트가 있으니 보통 NAS를 구축한 사람들에게 입문하기 딱 좋은 제품군이기도 하다. 전력공급방식은 과거에는 오프라인방식도 있었지만, 요즘 판매중인 제품은 모두 라인인터렉티브로 대체되어 있는 상태. 

 

그 위로 올라가면 BV, BVX, SMV 등의 라인업이 있고 Easy UPS 라고 부르는데, 여기서부터 사실 라인업이 꼬인다. 일단 SMV 라인업 빼고 설명하면. 인버터도, 베터리 용량도 가정용으로 쓰기에는 적당한 수준의 가격대도 적당한 수준이며, 타워형 제품은 나름 디자인도 어느정도 깔끔하게 되어 있는 편이다. 전력공급방식은 이 라인업까지는 모두 라인인터렉티브고 인버터도 기본은 유사정현파이다. 역시 라인업중 최하위 제품은 통신 포트가 없긴 한데, 그 최하위 제품에서 한단계만 올라오면 통신포트가 있다. SMV은 이와 다르게 순수정현파 출력이며, 외부 추가 베터리까지 연결 가능하고 현재 상티를 표시하는 화면까지 달려있다. USB 통신은 기본이고, 시리얼 통신도 가능. 사실 모델라인업 명만 봐도 상위 제품으로 가야하는데(Smart의 SM이 붙어 있음) 왜인지 APC코리아에서는 Easy UPS 라인업으로 분류되어 있다. 아마 인버터 용량이나 베터리 용량의 문제로 봐야하지 않을까 싶은데, 그래서 가격은 또 SmartUPS 라인업 가격이다.

 

이제 여기서부터는 본격적인 네트워크 및 서버용 제품이며 적당한 성능의 네트워크 랙 하나 정도 커버하는 제품부터 조금 크게 가면 여러대의 서버들을 커버하는 제품군이 시작하는데, 바로 Smart UPS 라인업이다. 내가 샀다는 SMC도 여기 속하고, SUA, SMT, SMX등도 있다. 이 라인업부터는 본격적으로 대부분 인버터가 순수정현파이며, 인버터 용량도 최소단위부터 조금 높은 편, 기본적으로 USB방식의 통신포트와 시리얼 포트를 제공하고, 별도로 SmartConnect 라는 UPS 관리 클라우드 콘솔까지 사용 가능하다. 타워형과 랙유닛형 제품군이 동시에 있으며, 화면을 통한 현재상태부터 각종 설정까지 가능하다. UPS 방식은 라인인터렉티브가 기본이지만, 상위 제품군으로 가면 온라인 UPS 방식도 제공한다. 최하위 제품군의 제한은 별도 기능 애드온이 불가능하고, LAN을 통한 클라우드 콘솔로 관리는 가능하지만, SNMP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이상한) 정책과, 추가 베터리 사용도 불가능하다. 

 

물론 각 모델 라인업의 대표적인 성격을 적었고, 제품 구성이 아무래도 고용량으로 갈 수록 제품 가격대가 비례해서 높아저야 하는 제품군이니만큼(UPS 주요 부품인 인버터와 베터리의 가격이 그만큼 높아짐), 높은 제품으로 갈 수록 기능도 다양해지고 하위라인업이 상위라인업과 맞먹는 경우도 생기는듯 하다. 

 

여튼 나는, 그나마 가정에서 쓸만한 모델 중에서는 높지만, 전산실용으로는 조금 부족한 SmartUPS 제품 라인업 중 SMC를 구매하게 되었다. 사실 이것도 구형모델이 있고 신형모델이 있는데, 일단 나름 신형 모델이긴 하다. (물론 신형이지만 2016년쯤 출시한 모델이다)

 

 

제품을 까보면 딱봐도 육중해 보일 것 같은 제품이 보이고, 주변에 부속품과 설명서등이 있다. '무거운 제품 특. 스티로폼으로 제품 모서리만 감싸지만, 그래도 보호 잘 됨' 을 지키는 정석적인 포장인데, 정작 부속품은 뒹굴뒹굴하는중. 

 

사실, 내가 굳이 가정용도 아닌 제품을 산 이유는 간단하다. 중고장터에서 미개봉품이라고 하위라인업 제품들보다 저렴하게 파는걸 덥썩 물었기 때문. 그래서 저 포장 상태가 실제 제품의 포장상태인지는 가늠이 안된다. '미개봉품' 이라고는 하지만 판매자가 한번은 열어봤지 않나 의심은 되는데,,, 사실 그런건 나는 개이치 않는다. 중요한건 시중가 대비 저렴한 가격이고 신품동급인게 중요한거지. 물론. 사실 이 쯤 되는 물건은 가정용으로는 안쓰기 때문에, 딱히 포장 상태가 중요한건 아니기도 하다. 잘 되는게 중요한거지.

 

제품을 꺼내보았다. 참고로 무개는 17키로쯤 된다. 대부분이 베터리와 인버터 무게라서 묵직하다. 전면에는 현재 UPS의 상태와 설정을 할 수 있는 세그먼트 화면과 버튼, 그리고 측면에는 인버터를 식히기 위한 에어밴트(패시브 방식이다), 상단에는 간단하게 최초 설치시 전원을 넣는 방법(베터리 차단 캡 결착 방법) 과 APC SmartConnect 연결 방법, 그리고 반대편 측면에는 출고 점검 결과지가 동봉되어 있다. 가정용으로 쓰는 EasyUPS제품군중 BVX 라인업과 비교시 디자인이 조금 더 투박하기는 하지만, 뭐 그래도 나름 디자인 나쁘지는 않다.

 

여튼 간단 사양을 설명하면, 600W 출력이 가능한 UPS이며, 베터리는 무보수 납축전지 12V 9Ah 짜리가 두개 직렬로 연결된 구성이다. 호환 베터리를 찾을려면 찾을 순 있겠지만, 아무래도 조금 특이한 형태라 전용 교채 베터리를 쓰는게 좋을 것 같다. 물론 가격은 비쌈. 라인인터렉티브 방식이나, 그린모드라는 동작방식을 추가하여 평소에는 다이랙트로 전원을 공급(즉 offline 토폴로지를 사용 가능) 할 수 도 있으며, 50%, 평소 300W 정도의 부하를 사용하고 있다면 정전 상황시 충 14분 정도는 버티는 사양이다. 인버터는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순수정현파를 출력한다. (사실 이 인버터 출력 방식 때문에 스마트 제품군 위주로 찾아본 것도 있다)

 

 

 

제품 후면에는, 우선 젤 눈에 띄이는 베터리 차단 분리캡이 있고, 스티커에 가려져 있는 IEC320 C13 단자 8개, UPS에 전원을 공급할 IEC320 C14 단자, 그리고 SmartConnect용 LAN포트와, PC 및 각종제어기기 연결용 시리얼포트와 USB 포트가 있다. 오버로드 페일로 차단되었을 때 복구할 수 있는 스위치도 전원용 IEC320 C14 단자 위에 작게 마련되어 있다.

 

IEC320 C13 단자는 총 8개인데, 내가 산 모델의 인버터 최대용량이 600W라서, 크게 의미가 있나 싶다. 일단 저 포트들은 모두 UPS 베터리 백업을 지원하며 라인인터렉티브이기 때문에 AVR 기능에 의한 서지 및 저전압, 고전압 보호가 지원된다. 앞에서 설명은 했지만 LAN의 경우 보통 관리를 위한 SNMP 프로토콜을 지원하지는 않으며, 시리얼포트는 보통 사용하는 DE-9 단자가 아닌, UTP 포트 형태이다. 전용 케이블이 필요한데, 기본 구성품에는 미포함. 물론 저 규격도 의외로 흔한 편이라 만들어도 된다. USB는 특이하게 A Type이고, 제공되는 USB A to A 케이블을 통해 서버나 NAS등에 연결할 수 있다. 왜 표준방식인 클라이언트용 B Type을 쓰지 않았는지는 잘 모르겠다. 하위라인업이나 보통 제품은 B Type을 사용하고 있다.

 

베터리 및 제품 테스트 결과지는 아렇게 되어 있는데, QC단에서 진행하는 모든 테스트가 통과되면 해당 결과지를 동봉하고 최종적으로 제품을 포장하는식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테스트 내용을 보면 별의 별 것 모두 테스트 한 것을 알수 있고, 결과시간을 적어놓는데, 이를 보고 내가 산 제품이 언제 공장에서 생산되서 나왔는지를 알 수 있다. 보아하니 내가 집어온 물건은 2022년쯤에 출고된 제품으로 보인다. 뭐 1년 정도야...

 

그외에 제품 상단에는 APC브랜드를 가진 슈나이더 일렉트릭 로고가 박힌 홀로그램 스티거도 붙혀져 있다. 

 

 

제품 외 구성품은 아주 단촐하다. 크게 한 장으로 제공되는 제품 설치 가이드, 제품 주요 안전정보 안내서 및 보증서, 유해물질 인증서, 소프트웨어가 담긴 CD, USB A to A 케이블, UPS에서 외부 장치로 전원을 공급할 케이블 두개.

 

제품 설치 가이드상에는 외부전원에서 UPS로 들어오는 전원 케이블도 하나 있다고 하는데, 안보임. 근데 내가 알고 있기로는 해당 케이블은 보통 수입사나 유통사에서 별도로 붙혀서 주거나 박스 안에 넣어주는 식인데, 아마 유통과정에 빼먹었지 않았나 싶다. 어차피 나는 해당 제품을 미개봉 신품중고로 샀으니 뭐라 따질 곳이 없다. 그리고 뭐 해당 케이블은 흔하게 구할 수 있으니... 요즘 보니까 다이소에서도 팔더라..

 

안전정보 안내서 내에는 한국어로도 적혀 으며, 아무래도 베터리등을 사용하는 물건이다보니 유해물질이 얼마 들었는지에 대해서도 적힌 증명서가 포함되어 있는게 조금 특이한 점이다.

 

 

UPS 특성상, 베터리를 주기적으로 교채해줘야 한다. 차량용 베터리와 마찬가지의 방식인 납축 베터리이기 때문에 아무리 상태가 좋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화학반응이 둔해지고, 그만큼 베터리 안정성도 떨어지면서 용량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베터리를 교채해줘야하는데, 나름 편하게 되어 있다. 전면 패널을 들어올려 빼내고, 전면 커버를 고정하는 볼트 두개를 빼내면 베터리가 바로 보이며, 베터리를 빼내고 선을 뽑아내면 바로 베터리 교채가 가능한 방식. 베터리는 전용카트리지 기준 APCRBC142 라는 베터리를 사용한다.

 

그리고 SMC1000IC 보다 좀 더 고용량의 SMC1500IC와 실제 제품 물리적 크기는 같으므로 베터리만 SMC1500에서 사용하는 RBC6 베터리도 쓸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물론 인버터 용량은 작기 때문에 베터리 용량이 크다한들 쓸 수 있는 장치는 제한되지만, 정전 상태에서 조금 더 오래 버티는 식의 튜닝 정도야 가능하지 싶다. 물론, 물리적으로 12V 전기만 연결되어 있다면 쓸 수 있을거기 때문에, 외국의 어느 사용기 중에서는 무지막지한 베터리를 꼽아두고 파워뱅크 처럼 사용하기도 하는듯.

 

 

디스플레이는 몇가지 인디케이터, 아이콘, 그래프와  세그먼트를 통해 현재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현재 전원이 인입상태인지, 베터리 모드인지, 부하율은 어느정도인지, 베터리량은 어느정도인지, 그린모드가 사용중인지, 사용가능 출력을 초과하였는지(overload)등을 알 수 있고, 경고가 있다면 경고등이, 경고가 발생했다면 소리로도 알람을 주는데, 이 소리 알림 상태인지, 음소거인지 등을 아주 함축적으로 나름 잘 전달해주는 디스플레이이다.

 

조금 더 상세한 정보가 필요할 때 보기 위해 아래 메뉴 버튼을 누를때마다 세그먼트 화면을 통해 순차적으로 정보를 보여주는데, 인입 전력의 전압, 이벤트횟수(정전으로 인한 AVR, UPS 작동횟수), 현재 베터리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시간(분단위), 현재 부하 W, %, VA, 현재 출력 A, V, Hz, 스마트커넥터 연결 상태 를 알려준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부하는 최소 36와트 이상부터 측정이 된다. 35와트 이하는 부하 측정이 되지 않아, 아무리 물려놔도 사용률 0%에 사용가능시간 999분을 표시할 뿐. 

 

UPS를 설정하는것도 이 디스플레이와 조작으로 가능하긴 한데 이를 안내해주는 표나 설명서는 기본제공되지 않는다. 홈페이지를 가서 제품 설명서를 별도로 다운받아 볼 수 는 있는데, 기본적으로 영문 안내가 우선이고, 번역되서 제공되기는 하지만 퀄리티가 좋지는 않다. 그냥 원문 메뉴얼을 받아 보는게 속편하다. 다만, 실제 설정을 해볼 건 딱히 없이 기본값이 잘 되어 있다. 굳이 따지자면 그린모드는 끄는게 UPS를 도입한 입장에서 더 효과가 좋다 정도?

 

그리고 그린모드 얘기를 했어서 설명을 좀 하면, 그린모드에 대해서 정확하게 안내가 안되어서 설명이 곤란하긴 한데, 기본적으로 오프라인 UPS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방식인듯 하다. 설명상으로는 베터리 및 UPS 상태가 정상이고 충분히 충전되어 있다면 인버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전원공급을 한다고 하는데, 사실 이런 UPS들은 애초에 인버터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설명은 맞지 않아 보이고,,,

 

몇일 사용해보고 설정을 번갈아가며 확인해본 결과, 기본 모드에서는 AVR이 항시 작동중이고, 베터리쪽으로도 전원을 계속 공급하면서 작동하지만, 그린모드에서는 어느정도의 전원 변동폭 안에서는 외부 전기를 그대로 부하에 공급해주는 방식으로 동작하되, 변동폭이 크거나 판단에 따라서 AVR로 스위칭 되도록 되어 있으며, 평시에는 베터리에 전원 공급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장점은 설명한대로 몇퍼센트 정도의 전력손실율이 감소하는 장점은 있지만, 단점은 그만큼 정전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스위칭 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베터리 자연방전에 따라 베터리 관리를 별도로 해줘야 한다.  결과적으로 오프라인 UPS 모드로 바뀐다고 생각하는게 속 편할 듯 하다. 

 

 

 

UPS가 들어오면서 NAS 및 네트워크 장치들을 책상 아래로 옮겼다. 아무래도 NAS도 무겁고, UPS도 무거워서 장식장에 놓기에는 너무 부담이 컸기 때문인데, 현재 뭐 무리 없이 잘 동작하고 있는 듯 하다. 사실 이런 제품들, 네트워크도 그렇고, NAS도 그렇고, 공유기도 포함해서, 존재감이 없어야 하는 물건들이다. 그런 물건들을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전원 공급은 사실 중요한데, 그렇다고 가정에서 이만큼 갖출 필요는 없지만, 뭐 있어서 나쁠건 없다.

 

소음은, 평소 외부 전원이 들어온 상태에서는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처음에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UPS를 구동해보니, 부하가 없어서 인버터가 튀는 소리가 계속 들렸어서, 처음에는 불량인줄 알았다. 부하가 조금이라도 들어가면 큰 문제는 없다. 외부전원이 끊긴 상태일 경우에는 베터리로 스위칭 되는 릴레이 소음과, 인버터가 동작하는 소음이 있기는 하지만 뭐 그 상황에서는 정전일 것이기에 이 소음에 신경쓰일 건 아니라고 본다. 

 

 

그리고 UPS 도입하고 신기하다고 전원 막 꼽았다 뺐다 하면서 잘 된다고 정말 좋다고 하는 유튜브 영상들이 있던데, 그거 한번할때마다 UPS 수명이 팍팍  깎인다고 생각하는게 좋다. 베터리도 베터리고, 스위칭 하는 릴레이나 인버터는 그 서지와 하위단 부하를 견더야 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잘 동작하는 UPS는 아무것도 안하고 가만히 놔두는게 좋다. (뭐 굳이 하고 싶다면, 아주 최소한의 부하만 연결해두고 테스트 해보는 것으로 만족하자)

 

마찬가지로 멀티텝에 UPS를 꼽는 영상, 사람들도 있던데, 그것도 절대 해서는 안되는 행위이다. UPS는 아무리 소용량이라도 벽콘센트에 바로 전원 공급을 받는것이 좋다 (UPS의 용량이 아무리 작더라도, 상황에 따라 UPS 하위 장비의 부하 + 베터리 충전 부하 + 인버터등의 손실을 따지면 순간적으로 멀티텝 한계를 넘길 부하가 걸리기도 한다, 애초에 UPS를 설치하는 환경에서는 UPS용 전원분전함과 차단기가 별도로 달려 있고 다이랙트로 공급하는 식으로 운영한다. 가정에서 쓰는 용량은 그정도는 아닐지라도 최소한 벽 콘센트에 바로 연결하는것이 올바른 사용방법이다)

 

 

 

 

 

 

반응형